국민 백신 프로그램이라고도 할 수 있는 1600만 명이 이용 중인 '알약'이 멀쩡한 프로그램을 랜섬웨어로 잘못 인식하여 일반인들의 PC가 먹통이 되어버리는 사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알약에서 '랜섬웨어 차단 알림 메시지' 가 뜨면서 오류가 난다고 하는데 상황이 심각합니다.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 해결법, 랜섬웨어 대처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 해결법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 해결법은 복잡한 여러 방법이 나와있지만, 그냥 제가 가져온 방법대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 알약을 사용하고 계시다가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가 나신 분들은 이 사진처럼 뜨실 텐데요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가 떠도 절대 신고하기 버튼을 누르지 마시고 닫으시길 바랍니다. 아직 오류가 안 떴고 컴퓨터가 멀쩡하다면 그것은 행운이고 바로 제가 하단에 써놓은 대로 실행하시거나 아예 삭제해버리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선 알약이 이미 깔려 있고 재부팅을 하지 않은 분들은
1. 알약 프로그램 환경 설정 - 검사에서 실시간 감시와 모드 등 모든 모드를 OFF 모드로 모두 종료해 놓는 것
2. 알약 프로그램 기타 설정 - 맨 위에 있는 실행 설정에서 윈도우 시작 시 자동 실행 사용도 비활성화해 놓는 것
위의 사진대로 다 하셨다면, 현재 EST 시큐리티에서 제시한 해결 방안으로
1. 수동 조치가 다운로드 가능한 경우에는 하단의 링크를 타고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되겠지만,
https://www.estsecurity.com/public/security-center/download
이스트시큐리티 개인 | 다운로드
전용백신 이름 알약 실행이나 윈도우 부팅을 방해하는 악성코드 OS플랫폼 Windows 관련 보안공지 시스템 후킹을 통해 정상적인 알약의 실행을 방해하거나 윈도우 부팅을 방해, 혹은 알약의 강제
www.estsecurity.com
2. 수동 조치툴 다운로드 불가능한 경우에는
① PC 강제 재부팅 3번 시도하여 안전모드(네트워킹 사용) 진입
(참고 : Windows 안전모드 진입방법)
- PC 강제 재부팅 : Power Off 버튼 5초 이상 누름(3회 반복)
② 수동 조치툴 다운로드 후 실행
③ 재부팅 하라고 하는데,
이것 말고는 공식적으로 나온 깔끔한 대처 방안도 없고, 해결자분들마다 말이 다 달라서 복잡하다고 생각됩니다. 근데 애초에 저라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가 이미 발생되었다면 사실은 아예 삭제해버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컴퓨터에 대해서 좀 아신다 하는 분은 알약을 절대 쓰지 않거든요. 국산 제품이라고 다 좋다는 법도 없고 해외 무료는 물론이고 체험판보다도 성능이 뒤떨어지며 쓸데없는 기능과 광고, 관련 프로그램까지 있는 알약입니다.
알약이 좋았던 시절은 이미 2010년대인 거 같고, 쓸 메리트가 전혀 없는 프로그램이라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압축이나 그런 작업 때문에 프로그램이 필요하신 거라면 호환성이 제일 좋고 오류가 거의 없는 반디집을 추천드립니다.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가 떠서 재부팅 하기 전 '삭제' 하실분들은 아래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 빠르고 쉬운 해결법
그냥 제어판 - 프로그램 삭제/추가에서 알약을 제거하는 것이 제일 간편하겠지만, 이게 안 통한다면
보통 C 드라이브에 알약이 깔려있을 텐데요,
C: \ Program Files \ ESTsofT \ ALYac으로 가서 모든 파일을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C:\Window\system32\drivers으로 가서 EstRtwlFDrv를 삭제해 주시고
재부팅을 해버리면 깔끔하게 삭제된 채로 재부팅이 될 겁니다. 이 방법들이 아예 안 통할 정도로 개인 컴퓨터가 아예 먹통일 경우에는 안전 모드 진입을 통해서 컴퓨터를 켜고 수동조차 툴을 다운로드해 조치를 취하셔야 합니다.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의 원인와 랜섬웨어 해결법 꿀팁
문제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알약은 원래 트로이목마나 랜섬웨어를 탐지하게 되면 바로 알림으로 알려주거나 컴퓨터를 아예 차단시켜서 막아버리는 기능이 있는 걸로 압니다. 한데 이 기능이 패치를 하면서 오류를 일으켰습니다. 윈도 사용자라면 기본으로 깔려있는 프로세스인 svchost라는 프로세스를 랜섬웨어로 인식해버려서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의 컴퓨터가 먹통이
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거 같은데요, 실제로 svchost인척해서 랜섬웨어로 침투하는 랜섬웨어가 흔히 있긴 하지만, 이번 사건은 랜섬웨어가 아닌데도 기본 프로세스를 저렇게 랜섬웨어로 오인하여 컴퓨터를 망가뜨려버리는 오류가 생기는 것이 문제죠. 아무리 외부가 아닌 내부적인 오류라고 해도 큰 피해를 입으신 분들이 많을 거 같아 걱정입니다.
말은 청산유수입니다.. 뭐 사실 국내 프로그램 중에는 알약이 좋은 편에 속하는 것도 사실이긴 하죠. 근데 이번 오류는 진짜 기존 무료 버전 사용자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힌 거나 다름없어서 뭔가 대책을 빨리 내놓아야 할거 같습니다.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가 떠서 클릭하거나 신고했는데 컴퓨터가 먹통이 되셔서 뭐 과제를 해야 하거나 결제를 해야 하는데 못해서 발을 동동 구르시는 선량한 피해자분들이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기업용까지 피해를 입었으면 최소 몇백억의 손실을 감수했어야 할 겁니다.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관계자는 " 이번 사고는 외부 침입에 의한 보안 침해 사고가 아니라 내부적인 시스템 패치 오류가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어 외부의 침해 사고가 아니기 때문에 그 후에 (과기 정통부)가 다른 조치는 하지 않고 있다" 라고 했습니다.
그나마 외부 해킹에 의한 것이 아니라서 빠르게 대처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홈페이지에 올렸지만.. 이미 피해 입은 사람들의 시간은 되돌릴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 기회에 다들 탈 알약 하셔서 훨씬 안전하고 좋은 무료나 돈을 조금 투자하여 유료 백신 프로그램 쓰시길 바랍니다. 조만간 백신 추천글도 올려드리겠습니다.
개인적인 랜섬웨어 대처법 꿀팁과 경험담
보통 랜섬웨어에 걸리면 좌측 사진처럼 파일이 생기거나 파일들이 이상한 확장자로 변하게 되면서 우측 상단처럼 해킹범이 자신의 비트코인 사이트나 계좌에 돈을 안 내놓으면 복구해 주지 않겠다. 시간 안에 돈을 보내지 않는다면 2배로 넘어간다. 등의 저급한 협박을 하는데요 정말 귀한 자료 아니면 돈을 안 보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돈을 보내도 복구를 안 해주는 경우가 아주 흔한 일이거든요. 전 세계 모든 랜섬웨어 대처법으로 제일 좋은 것은 강제 종료를 하는 것입니다. 보통 메일이나, 수상한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랜섬웨어가 심어져있는 사이트 광고를 클릭하거나 등.. 걸리는 경로는 매우 많습니다. 경로는 많은데 해결 방법은 거의 단 하나라고 보셔도 됩니다.
그것은 랜섬웨어에 걸릴 시에 바로 컴퓨터를 끄는 것입니다. 이보다 빠르고 정확한 방법은 없습니다. 이건 비전문가 거나 일반인이 사용하다가 랜섬웨어가 걸렸을 경우에 그 어떠한 방법보다도 이게 우선입니다. 그래야 내 컴퓨터 안에 있는 소중한 파일들이 변하는 것을 막고, 이미 변해버린 건 어쩔 수 없지만 더 이상 랜섬웨어로 인한 파일의 변환 진행을 막아버리거든요.
물론 문제는 보통은 랜섬웨어에 걸리면 렉이 걸리거나 인터넷 창이 멈추거나 해킹범의 경고 메시지, 페이지가 뜨면서 돈을 입금하라고 나올 때는 이미 많은 파일이 변해져있는 상태라 보통의 경우에는 랜섬웨어에 걸렸는지 바로 알 수가 없으니 다들 당하는 것이고.. 전 하도 예전 컴퓨터에서 랜섬웨어를 많이 당해서 의심되는 파일이나 사이트에 들어갔는데 컴퓨터가 버벅대거나 멈추는 거 같다? 바로 전원 버튼 수동으로 눌러서 꺼버렸습니다.
그렇게 하니 파일이 거의 멀쩡하더라구요. 종료 시에는 모든게 컴퓨터의 모든게 멈춰서 막을수있는것 같습니다. 파일이 변하고 있거나 파일을 받았는데 엄청난 렉이 걸리거나 하면 수동으로 강제 종료하시는 것을 권하며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의 해결법과 원인을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 알약 랜섬웨어 차단 알림 오류로 인해 곤욕을 치렀을 분들께 위로를 전합니다.
'IT 관련 핫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14 가격 , 출시일 , 스펙 디자인 정보 총 정리 (0) | 2022.09.08 |
---|
댓글